맨위로가기

이고리 셈쇼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리 셈쇼프는 러시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CSKA 모스크바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토르페도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등에서 클럽 경력을 쌓았다.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2002년, 2004년, 2008년, 2012년 FIFA 월드컵과 유로 대회에 참가했으며, 유로 2008에서는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010년 러시아 컵 우승을 경험했으며, 2008년 유로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축구 선수 - 발렌틴 이바노프 (1934년생 축구인)
    발렌틴 이바노프는 1934년생으로,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연방 국가대표로 활동했고, 195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골든 부츠와 1962년 FIFA 월드컵 득점왕에 오른 축구 선수이다.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축구 선수 - 알렉세이 부가예프
    알렉세이 부가예프는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로, 여러 클럽에서 활동하며 러시아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지만, 마약 소지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축구 선수 -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는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며,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PFC CSKA 모스크바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우승을 경험했고, 러시아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08 4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축구 선수 - 로만 시시킨
    로만 알렉산드로비치 시시킨은 러시아의 축구 선수로, 풀백이나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등에서 뛰었고,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16에 참가하기도 했다.
  • 러시아 남자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는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며,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PFC CSKA 모스크바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우승을 경험했고, 러시아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08 4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 러시아 남자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알렉산드르 골로빈
    알렉산드르 골로빈은 러시아의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PFC CSKA 모스크바에서 프로 데뷔 후 AS 모나코로 이적, 러시아 국가대표팀 주축 선수로 활동하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U-17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고, 뛰어난 패스 능력과 중거리 슈팅 능력을 갖춘 선수로 평가받는다.
이고리 셈쇼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셈쇼프, 2019년 아스날 툴라 코치 시절
본명이고리 페트로비치 셈쇼프
출생일1978년 4월 6일
출생지소련, 모스크바
신장1.70m
포지션중앙 미드필더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연도: 1995–1996
클럽: CSKA 모스크바
프로 클럽연도: 1996–1997
클럽: CSKA 모스크바
출장: 10
득점: 1
연도: 1996–1997
클럽: CSKA-d 모스크바
출장: 55
득점: 13
연도: 1998–2005
클럽: 토르페도 모스크바
출장: 216
득점: 54
연도: 1998–2000
클럽: 토르페도-d 모스크바
출장: 9
득점: 3
연도: 2006–2008
클럽: 디나모 모스크바
출장: 85
득점: 17
연도: 2009
클럽: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장: 26
득점: 6
연도: 2010–2013
클럽: 디나모 모스크바
출장: 82
득점: 19
연도: 2013–2014
클럽: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출장: 14
득점: 1
통산 출장497
통산 득점114
국가대표 경력
청소년 국가대표연도: 1998–1999
대표팀: 러시아 U-21
출장: 8
득점: 0
국가대표연도: 2002–2012
대표팀: 러시아
출장: 57
득점: 3
감독 경력
코치연도: 2017–2018
클럽: 아르세날 툴라 (수석 코치)
연도: 2018–2020
클럽: 아르세날 툴라 (수석 코치)
연도: 2020–2021
클럽: 힘키 (수석 코치)
연도: 2021–2022
클럽: 힘키 (수석 코치)
감독연도: 2018
클럽: 키미크 노보모스콥스크
연도: 2022–2023
클럽: 차이카 페스차노콥스코예

2. 클럽 경력

셈쇼프는 1996년 CSKA 아카데미를 졸업했지만, 주전 자리를 잡지 못하고 1998년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적했다.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고, 러시아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2006년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2008년까지 활약했다. 2009년 12월 15일, 450만유로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했지만, 다음 시즌 디나모 모스크바로 복귀했다.

프로 데뷔 이후,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팀 MVP를 차지한 경력은 있지만, 팀 타이틀 획득 경험은 없다.[2]

클럽디비전시즌리그유럽 클럽 대항전합계
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
CSKA-D 모스크바D4199633103310
CSKA-D 모스크바D41997223223
CSKA-D 모스크바 합계551300005513
CSKA 모스크바D11996201030
CSKA 모스크바D119978181
CSKA 모스크바 합계1011000111
토르페도-2 모스크바D319981010
토르페도-2 모스크바D320007373
토르페도-2 모스크바 합계83000083
토르페도 모스크바D1199825620276
토르페도 모스크바D1199928310293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01811010201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12862020326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228112811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33061062378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430910319
토르페도 모스크바D120052912533415
토르페도 모스크바 합계216541339223859
디나모 모스크바D1200628650336
디나모 모스크바D1200728540325
디나모 모스크바D1200829620316
디나모 모스크바 합계8517110009617
제니트D120092662022308
제니트 합계2662022308
디나모 모스크바D1201029522317
디나모 모스크바 합계2952200317
통산41897184114447105


2. 1. CSKA 모스크바 (1996-1997)

셈쇼프는 1996년 CSKA 모스크바 유소년 팀을 졸업하고 같은 해 CSKA 모스크바 1군에 합류했지만, 주전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1996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2경기, 1997 시즌에는 8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였다. CSKA 모스크바 소속으로 1996년에 컵 대회 1경기 출전 기록이 있다.

클럽디비전시즌리그 경기리그 득점컵 경기컵 득점유럽 클럽 대항전 경기유럽 클럽 대항전 득점합계 경기합계 득점
CSKA-D 모스크바D4199633103310
CSKA-D 모스크바D41997223223
CSKA-D 모스크바 합계551300005513
CSKA 모스크바D11996201030
CSKA 모스크바D119978181
CSKA 모스크바 합계1011000111


2. 2. 토르페도 모스크바 (1998-2005)

이고리 셈쇼프는 1998년 CSKA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맞이했다.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그는 팀의 핵심 선수로 빠르게 자리 잡았으며, 러시아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는 영광을 누렸다.[1]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4번이나 팀 MVP를 수상[2]할 정도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입단 초기에는 심판을 발로 차 5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는 불미스러운 일도 있었지만,[2] 2001년 결혼 후[2] 뛰어난 기술과 투지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2]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
리그유럽 클럽 대항전합계
199825620276
199928310293
20001811010201
20012862020326
200228112811
20033061062378
200430910319
20052912533415
합계216541339223859


2. 3. 디나모 모스크바 (2006-2008, 2010-2013)

2006년 디나모 모스크바에 3년 계약으로 입단했다.[2] 잦은 감독 교체와 대규모 선수 보강 속에서도 셈쇼프는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2] 2008년까지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활약했으며,[1] 2009년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했다가,[1] 2010년 친정팀 디나모 모스크바로 복귀했다.[2]

시즌경기득점컵 득점
200628650
200728540
200829620
201029522
합계11422132


2. 4.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

2008년 12월 15일, 이고리 셈쇼프는 450만유로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4년이었다.[1] 모스크바를 떠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뛰게 되었지만, 2010년 1월에 친정팀 디나모 모스크바로 복귀했다.[1]

클럽디비전시즌리그유럽 클럽 대항전합계
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
제니트D120092662022308
합계2662022308


2. 5.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13-2014)

이고리 셈쇼프는 2013년에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했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기간 동안의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섹션에 추가할 내용은 없다.

3. 국가대표 경력

2011년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셈쇼프


셈쇼프는 2002년 FIFA 월드컵UEFA 유로 2004에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었다. 이후 거스 히딩크 감독 부임과 함께 대표팀에 정착하여 UEFA 유로 2008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3위에 기여했다. 2009년 4월 리히텐슈타인과의 경기에서는 주장 완장을 찼으며, 같은 해 8월 12일 아르헨티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다.

3. 1. 2002 FIFA 월드컵

셈쇼프는 2002년 FIFA 월드컵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지만, 왼쪽 미드필더라는 익숙하지 않은 포지션에서 뛰면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1] 2002년 월드컵 직전인 2002년 5월 17일에 열린 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2] 본선 멤버에서 탈락한 안드레이 아르샤빈, 데니스 락티오노프와는 달리 23인 명단에 포함되었다.[2] 당시 출장 횟수는 1경기였지만, 주전 선수로 등번호 6번을 달고, 일본과의 경기를 포함해 3경기 중 2경기에 선발 출전했다.[2]

3. 2. UEFA 유로 2004

셈쇼프는 UEFA 유로 2004에 참가했지만, 러시아는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셈쇼프는 조별 리그 탈락이 확정된 후 마지막 그리스와의 경기에만 후반 교체로 출전하여 아쉬움을 남겼다.

3. 3. UEFA 유로 2008

거스 히딩크 감독 취임과 동시에 본격적으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정착하게 되었다. UEFA 유로 2008에서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3위에 기여했다.

3. 4. UEFA 유로 2012

셈쇼프는 2012년 5월 25일 최종 확정된 UEFA 유로 2012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3. 5.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개최일개최지대전 상대득점결과대회
12009년 8월 12일 모스크바 아르헨티나1 - 02-3친선 경기
22009년 9월 9일 카디프 웨일스1 - 03-1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32011년 9월 2일 모스크바 북마케도니아1 - 01-0UEFA 유로 2012 예선


4. 기타

가족으로 부모와 여동생이 있다. 아버지는 표트르 셈쇼프로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하부 조직 책임자이다. 이고리 셈쇼프는 기혼이며, 부인과의 사이에 딸과 아들을 두고 있다.

5. 수상 경력

이고리 셈쇼프는 2010년 러시아 컵에서 우승했으며, UEFA 유로 2008에서는 러시아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1][4][5][6]

5. 1. 클럽

이고리 셈쇼프는 선수 시절 여러 클럽을 거쳤다. 다음은 선수 경력 동안의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클럽디비전시즌리그유럽 클럽 대항전합계
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
CSKA-D 모스크바D4199633103310
1997223223
합계551300005513
CSKA 모스크바D11996201030
19978181
합계1011000111
토르페도-2 모스크바D319981010
20007373
합계83000083
토르페도 모스크바D1199825620276
199928310293
20001811010201
20012862020326
200228112811
20033061062378
200430910319
20052912533415
합계216541339223859
디나모 모스크바D1200628650336
200728540325
200829620316
합계8517110009617
제니트D120092662022308
합계2662022308
디나모 모스크바D1201029522317
합계2952200317
통산41897184114447105



2010년 러시아 컵에서 우승했다.[1]

5. 2. 국가대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08년[4][5][6]

참조

[1] 웹사이트 Igor Semshov Profile, Statistics, News, Game Log - Zenit St Petersburg, Russian Premier League - ESPN Soccernet https://web.archive.[...] 2010-03-28
[2] 웹사이트 FIFA.com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Advocaat announced the finalized Euro Squad http://rfs.ru/main/n[...] 2012-05-25
[4]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http://www.uefa.com/[...] UEFA 2020-12-05
[5] 웹사이트 Russia-Spain {{!}} Line-ups {{!}} UEFA Euro https://www.uefa.com[...] 2020-12-05
[6] 웹사이트 UEFA Euro 2008 squad list announced https://www.uefa.com[...] UEFA 2020-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